휴직 기간 포함 퇴직금 계산 방법 간단 정리

퇴직금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간단한 절차를 정리했습니다.

아래 순서를 따라 하면 휴직 기간이 포함된 퇴직금도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.

✅자동으로 계산해주는 퇴직금 계산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분들은?


1단계: 필요한 정보 준비

  1. 입사일과 퇴사일: 근속 기간을 계산합니다.
    • 예: 2020년 1월 1일 ~ 2023년 12월 31일
  2. 퇴직 직전 3개월간 임금 총액:
    • 기본급과 상여금, 수당 포함
    • 예: 900만 원
  3. 퇴직 직전 3개월간 총일수:
    • 날짜를 합산
    • 예: 9월(30일) + 10월(31일) + 11월(30일) = 91일
  4. 휴직 기간 정보:
    • 휴직 기간의 근속 기간 포함 여부와 무급 여부를 확인합니다.

2단계: 계산 순서

1. 근속 기간 계산

  • 입사일부터 퇴사일까지의 총 근속일수를 계산합니다.
    • 예: 2020년 1월 1일 ~ 2023년 12월 31일 → 1,460일

2. 1일 평균임금 계산

  • 공식: 1일 평균임금 = 3개월간 임금 총액 ÷ 3개월간 총일수
  • 예: 1일 평균임금 = 900만 원 ÷ 91일 ≈ 98,901원

3. 퇴직금 계산

  • 공식: 퇴직금 = (1일 평균임금 × 30일) × (근속 기간 ÷ 365일)
  • 예: 퇴직금 = (98,901원 × 30일) × (1,460일 ÷ 365일) ≈ 11,868,120원

유의사항

  • 휴직 기간 확인: 휴직 기간이 근속 기간에 포함되지 않거나 무급인 경우, 계산 방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  • 정확한 데이터 입력: 준비한 정보를 정확히 입력해야 계산이 올바르게 됩니다.
  • 전문가 상담: 계산이 어렵거나 확실하지 않다면 노무사나 회사 인사팀에 문의하세요.

이 절차를 따라 계산기를 사용하면 퇴직금을 직접 계산할 수 있습니다!